맨위로가기

라시 (랍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시(Rashi)는 1040년 프랑스 트루아에서 태어난 중세 시대의 유대교 랍비로, 히브리어 성경인 타나크와 바빌로니아 탈무드에 대한 주석으로 유명하다. 그는 5세부터 토라를 배우기 시작하여 17세에 결혼한 후 독일에서 유대교를 공부했으며, 25세에 트루아로 돌아와 랍비 법정의 일원이 되었다. 라시는 1070년 예시바를 설립하여 유대교 연구의 중심지로 만들었고, 1105년 사망할 때까지 활발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그의 주석은 타나크와 탈무드의 의미를 명확하게 설명하고, 문법과 구문에 대한 분석을 통해 텍스트를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15세기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여 정통 유대교에서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라시의 저술은 유대교뿐 아니라 기독교 학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쳤으며, 고대 프랑스어로 글을 쓴 최초의 작가 중 한 명으로서 언어와 문화 연구에도 기여했다.

2. 이름

라시의 성씨인 이츠하키는 그의 아버지 이름인 이츠하크에서 유래되었다. "라시"라는 약칭은 '''라'''비 '''슐'''로모 '''이'''츠하키를 의미하지만, 때로는 "이스라엘의 랍비"를 의미하는 '''라'''반 '''슐''' 엘 '''이'''스라엘 또는 '''라'''브누 '''셰이'''히예 (우리의 랍비, 그가 살아있기를)로 확장되기도 한다. 그는 히브리어 및 아람어 텍스트에서 (1) "랍비 이츠하크의 아들 슐로모", (2) "이츠하크의 아들 슐로모", (3) "슐로모 이츠하키" 등으로 인용되며, 이와 유사한 매우 존경하는 파생어를 사용하기도 한다.[1]

오래된 문헌에서 라시는 때때로 ''자르치'' 또는 ''야르히''(ירחי|야르히he)로 언급되기도 하는데, 그의 약칭은 '''라'''비 '''슐'''로모 '''야'''르히로 해석된다. 이는 프로방스의 뤼넬의 히브리어 이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었으며, 이는 대중적으로 옥시탄어 ''luna'' "달"에서 파생되었고, 히브리어로는 ירח|야르흐he이다.[2] 라시는 언젠가 그곳에서 살았거나,[3] 태어났거나, 그의 조상이 그곳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겨졌다.[4] 이후의 기독교 작가인 리처드 시몬[5]과 요한 크리스토프 볼프[6]는 오직 기독교 학자들만이 라시를 자르치라고 불렀으며, 이 칭호는 유대인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베르나르도 데 로시는 히브리어 학자들 또한 라시를 야르히라고 불렀다는 것을 증명했다.[7] 1839년, 레오폴트 춘츠[8]는 자르치의 히브리어 사용은 기독교 작가들의 오류를 잘못 전파한 것이라고 밝히고, 대신 이 약어를 '''라'''비 '''슐'''로모 '''이'''츠하키로 해석했다. 이 용어의 진화는 철저하게 추적되었다.[9][10]

3. 생애

1040년 프랑스 북부 샹파뉴 지방 트루아에서 태어났다.[74] 5세 때 아버지에게서 토라를 배웠고, 아버지를 일찍 여읜 후에는 독일 보름스마인츠예시바에서 공부했다. 17세에 결혼하여 세 딸을 두었다. 25세에 트루아로 돌아와 랍비 법정 베트딘의 일원이 되었고, 할라카 주석을 작성했다.

1070년 예시바를 열어 제자들을 가르쳤으며, 트루아는 유대교 연구의 중심지가 되었다. 1096년 제1차 십자군의 습격에 충격을 받았고, 1105년 그 후유증으로 사망했다.[75]

라시는 히브리어 성경탈무드 주해서를 다수 남겼으며, 이는 후대의 많은 토사피스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76]

3. 1. 출생과 초기 생애

1040년 프랑스 북부 샹파뉴 지방 트루아에서 태어나[74] 5세 때 아버지로부터 토라를 배웠다. 아버지는 일찍 여의고, 독일 보름스, 마인츠예시바에서 수학했다.

17세에 결혼하여 딸 셋을 두었다.

3. 2. 결혼과 귀향

라시는 17세 무렵에 결혼하여 세 딸을 낳았다.[74] 25세 무렵 트루아로 귀향한 후 랍비 법정 베트딘의 일원이 되었다. 할라카를 주석했다.[71]

3. 3. 예시바 설립과 십자군 원정

1070년경, 라시는 많은 제자들이 모여드는 예시바를 설립했다. 이 예시바는 트루아를 유대교 연구의 중요한 거점 및 중심지로 만들었다.[75]

1096년, 민중 십자군이 로렌 지역을 휩쓸면서 12,000명의 유대인을 살해하고 공동체를 뿌리 뽑았다. 보름스에서 살해된 사람들 중에는 라시의 스승인 아이작 벤 엘리에제르 하레비의 세 아들이 있었다. 라시는 학살과 이 지역의 위대한 예시바 파괴를 애도하는 여러 ''슬리호트''(참회 시)를 썼다.[24] 그는 제1차 십자군의 습격에 충격을 받았다.[75]

3. 4. 사망

라시는 1105년 7월 13일(타무즈 29일, 4865년)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5] 그는 트루아에 묻혔다. 그가 묻힌 묘지의 대략적인 위치는 ''세데르 하도롯''에 기록되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묘지의 위치는 잊혀졌다. 수년 전, 소르본 대학교의 한 교수가 트루아 시내의 열린 광장 아래에 있던 묘지 부지를 묘사한 고대 지도를 발견했다. 이 발견 이후 프랑스 유대인들은 광장 중앙에 큰 기념비를 세웠는데, 이는 רשי의 세 개의 히브리어 문자가 반시계 방향으로 음각되어 히브리어 미세 서법의 스타일을 연상시키는 흑백 지구본이었다. 기념비의 화강암 받침대에는 "랍비 슐로모 이츠차키 - 해설가이자 안내자"라고 새겨져 있다.

2005년, 이스로엘 메이르 가바이는 이 부지에 묘지임을 알리는 추가적인 명판을 세웠다. 명판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당신이 서 있는 이곳은 트루아 마을의 묘지입니다. 많은 리쇼님들이 이곳에 묻혀 있으며, 그 중에는 라시로 알려진 랍비 슐로모, 그의 공적이 우리를 보호해주시기를''".[26]

4. 라시의 딸들과 후손

라시는 아들이 없었고 세 딸 요체베드, 미리암, 라헬을 두었다. 그는 딸들의 교육에 힘썼다. 그의 저술과 그를 둘러싼 전설에 따르면, 그의 딸들은 (여성이 공부할 것으로 기대되지 않던 시대에) 토라탈무드에 정통했으며, 그가 너무 쇠약해져서 글을 쓸 수 없을 때 그를 도왔다고 한다. 그의 딸들은 그의 제자들과 결혼했다. 오늘날 대부분의 아슈케나지 랍비 가문은 그의 딸 미리암 또는 요체베드에게서 그 계보를 찾을 수 있다.[27]

20세기 말의 전설에 따르면 라시의 딸들은 테필린을 착용했다고 한다. 중세 아슈케나즈의 몇몇 여성들이 테필린을 착용했지만, 라시의 딸들이 그랬다는 증거는 없다.[28]


  • 라시의 맏딸 요체베드는 메이어 벤 사무엘과 결혼했다. 그들의 네 아들은 사무엘(1080년 출생), 이츠하크(1090년 출생), 야코프(1100년 출생), 슐로모(문법학자)였으며, 모두 가장 다작의 토사피스트에 속했다. 요체베드의 딸 한나는 지역 여성들에게 촛불 점등 후 (전이 아니라) 축복을 암송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라시의 둘째 딸 미리암은 주다 벤 나단과 결혼했고, 그는 탈무드 마코트에 대한 주석을 완성했다.[29] 그들의 딸 알비나는 학식이 풍부한 여성이었고, 그녀의 관습은 이후의 할라카 결정의 기초가 되었다. 그들의 아들 욤 토브는 나중에 파리로 이주하여 그의 형제 심숀 및 엘리에제와 함께 그곳에서 예쉬바를 이끌었다.
  • 라시의 막내 딸 라헬은 엘리에제 벤 셰미아와 결혼(및 이혼)했다. 그녀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유명한 폴란드 탈무드 학자 모세 이세르레스(1530-1572)는 라시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30]

5. 저술

라시는 타나크(히브리 성경)와 탈무드에 대한 포괄적인 주석을 저술했으며, 그의 주석은 유대교 학문과 해석에 큰 영향을 미쳤다.
타나크 주석라시의 타나크 주석, 특히 토라 주석은 정통 유대교 신자들에게 필수적인 자료로 여겨진다. 라시는 미드라시, 탈무드, 아가다 문학, 히브리어 문법, 할라카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텍스트의 "단순한" 의미를 명확하게 설명했다.[31] 그의 주석은 심오한 법적 분석과 신비주의적 담론의 기초가 되었다. 슈네르 자르만 오브 리아디는 "토라에 대한 라시의 주석은 '토라의 포도주'와 같다. 그것은 마음을 열고, 신에 대한 본질적인 사랑과 두려움을 드러낸다."라고 썼다.[32]

라시는 역대기상 및 하와 에스라기-느헤미야기를 제외한 타나크의 모든 책에 주석을 썼다.[34][35] 그의 욥기 주석은 40:25에서 끝나 불완전하다.[36] 라시는 문법과 구문에 초점을 맞추고 단어 선택에 집중하며, 독자에게 명확하지 않을 수 있는 사항을 설명하고 불일치에 대한 설명을 제공했다.[37] 그는 텍스트의 평이하고 문자적인 의미인 ''페샤트''와 랍비적 해석인 ''아가다''를 구별했다.

많은 유대인들이 안식일에 회당에서 읽을 토라 부분을 복습하며 "라시 주석이 있는 Chumash"를 공부한다. 할라카에 따르면, 라시의 주석을 읽음으로써 Shnayim mikra ve-echad targum의 의무를 이행할 수 있다.[58][59]

유다 로우 (마하라), 엘리야 미즈라치 (레엠), 솔로몬 루리아 (마하르샬) 등 라시의 성경 주석에 대한 방대한 초주석이 출판되었다.
탈무드 주석라시는 거의 모든 바빌로니아 탈무드에 대한 최초의 포괄적인 주석을 썼다.[42] 이 주석은 탈무드 구절의 단어와 논리적 구조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제공하며, 텍스트의 어떤 부분도 바꾸어 쓰거나 제외하지 않고 구절별로 명확하게 설명한다. 그는 종종 구두점이 없는 텍스트에 구두점을 찍어 의미를 명확히 했다.

라시는 그의 시대의 직업, 공예, 스포츠에 대한 비유를 사용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설명했다. 그는 어려운 히브리어 또는 아람어 단어를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고대 프랑스어의 어휘와 발음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라시의 탈무드 주석은 15세기에 처음 인쇄된 이후 모든 탈무드 버전에 포함되었으며, 항상 펼쳐진 책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다. 라시에게 귀속된 다른 인쇄된 주석 중 일부는 다른 사람, 주로 그의 제자들이 작성했다.

라시의 탈무드 주석은 현대 랍비 학문과 해석의 핵심 기반이다. 그의 주석이 없었다면 탈무드는 닫힌 책으로 남아 있었을 것이다.[62]
응답서라시의 응답서와 할라카적 결정 약 300건이 현존한다. 이 응답서는 그의 제자, 손자, 그리고 미래의 학자들에 의해 필사되고 보존되어 출판되었다.[46] ''라시의 시두르''에도 라시의 기도에 대한 응답서가 포함되어 있다.

라시의 응답서는 유대교 생활과 율법에 관한 다양한 질문에 답변했을 뿐만 아니라, 제1차 십자군 전쟁 시기에 유대인들이 처했던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 대한 빛을 비추었다.[48] 그는 언어, 기도, 음식, 안식일에 관한 율법, 비유대인이 생산한 포도주, 맹세와 파문, 판매, 파트너십, 대출과 이자, 보석, 공동체 문제, 민법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라시는 여러 편의 selichot(참회 기도문)을 썼으며, 그 중 일부는 오늘날에도 유대교 전례의 일부로 암송되고 있다.

제목내용
'Nora vaElyonim''아슈케나짐 유대인이 로쉬 하샤나 전야에 암송한다. 역사적으로 욤 키푸르 전야에도 암송되었다.
'Ophan Echad baAretz''
Az Terem Nimtechu아슈케나짐이 게달리야 단식에 암송한다.
Akh Leilohim Nafshi Domi
Apekha Hashev
Torah haTemimah라인란트 학살에 관한 것으로 보인다.
'Tefillah lKademkha''프라하 구 시나고그의 1613년 기도서에 포함되었다.


5. 1. 타나크(히브리 성경) 주석



라시의 타나크(히브리 성경), 특히 토라 주석은 정통 유대교 신자들에게 필수적인 자료이다. 라시는 사라진 문헌을 포함한 미드라쉬, 탈무드, 아가다 문학, 히브리어 문법, 할라카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다섯 살 아이도 이해할 수 있도록 텍스트의 "단순한" 의미를 설명했다.[31] 그의 주석은 심오한 법적 분석과 신비주의적 담론의 기초가 되었다. 슈네르 자르만 오브 리아디는 "토라에 대한 라시의 주석은 '토라의 포도주'와 같다. 그것은 마음을 열고, 신에 대한 본질적인 사랑과 두려움을 드러낸다."라고 썼다.[32]

학자들은 라시의 토라 주석이 예시바에서 학생들에게 했던 강의에서 시작되어 발전했다고 믿는다. 라시는 생애 마지막 몇 년 동안 이 주석을 완성했다. 이 주석은 아슈케나즈 유대인과 스파라드 유대인을 포함한 모든 유대인 공동체에서 권위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최초의 히브리어 인쇄본은 1475년 2월 18일, 이탈리아 레조 디 칼라브리아에서 아브라함 벤 가르톤이 인쇄한 토라에 대한 라시의 주석이었다.[33] 라시는 역대기상 및 하와 에스라기-느헤미야기를 제외한 타나크의 모든 책에 주석을 썼다.[34][35] 그의 욥기 주석은 40:25에서 끝나 불완전하다.[36]

라시 저술의 주요 특징은 문법과 구문에 대한 초점이었다. 그는 단어 선택에 집중하며 "본질적으로 특이한 히브리어 단어를 정의하는 사전 역할을 한다."[37] 그는 독자에게 명확하지 않을 수 있는 사항을 찾고 불일치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며, 토라를 "더 완전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누락된 정보를 채워 넣는다."[37] 그의 저술은 텍스트의 평이하고 문자적인 의미인 ''페샷''과 랍비적 해석인 ''아가다''를 구별한다. 라시의 손자 라쉬밤은 "토라에 대한 주석이 주로 고전적인 미드라쉼(랍비 설교)을 기반으로 한다"는 라시의 반응을 비판했다.[38]

라시는 자신의 방법을 ''페샷''과 ''데라쉬''를 모두 활용하는 것으로 설명했다. "나는 성경의 단순한 의미(''페슈토 쉘 미크라'')와 그에 맞는 방식으로 성경의 단어를 설명하는 그러한 아가도스에만 관심이 있다."[39] 그는 미드라쉬를 인용하며 "그러나 이 미드라쉬는 여러 이유로 성경과 조화를 이룰 수 없다... 그러므로 나는 말한다. 성경은 명확하고 단순한 의미에 따라 조화롭게 하고, 미드라쉬도 설명될 수 있다. '내 말은... 바위를 산산조각 내는 망치와 같지 않느냐?'[40] - 그것은 많은 조각으로 나뉜다."라고 말한다.[41]

수만 명의 사람들이 안식일에 회당에서 읽을 토라 부분을 복습하며 "라시 주석이 있는 Chumash"를 공부한다. 할라카에 따르면, 남성은 표준 Targum Onkelos 대신 라시의 주석을 읽음으로써 Shnayim mikra ve-echad targum의 의무를 이행할 수 있다.[58][59] 라시의 토라 주석은 정통 유대교 공동체에서 제작된 거의 모든 Chumash에서 표준이 되었다. 많은 사람들은 "라시가 있는 Chumash"라는 용어를 사용한다.[60]

나드보르나의 모르데차이 라이퍼는 매주 라시의 주석과 함께 주간 파르샤를 배우는 사람은 사후 세계에서 라시의 예시바(학교)에 앉는 것이 보장된다고 말했다.[61]

유다 로우 (마하라)의 ''Gur Aryeh'', 엘리야 미즈라치 (레엠)의 ''Sefer ha-Mizrachi'', 솔로몬 루리아 (마하르샬)의 ''Yeri'ot Shlomo'' 등 라시의 성경 주석에 대한 방대한 초주석이 출판되었다. 메나헴 멘델 슈네르손은 그의 ''Rashi Sichos''에서 이러한 주석들을 다룬다.

라시의 영향력은 15세기에 커졌고, 17세기 이후 그의 주석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라시의 오경 주석은 최초의 인쇄된 히브리어 작품이다. 영어 번역본으로는 로젠바움과 실버만의 번역본과 ArtScroll이 있다.

5. 2. 탈무드 주석

라시는 거의 모든 바빌로니아 탈무드(총 39개의 권 중 30개)에 대한 최초의 포괄적인 탈무드 주석을 썼다.[42] 이 주석은 탈무드 구절의 단어와 논리적 구조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제공하며, 다른 주석가와 달리 텍스트의 어떤 부분도 바꾸어 쓰거나 제외하지 않고 구절별로 명확하게 설명한다. 그는 종종 구두점이 없는 텍스트에 구두점을 찍어 의미를 명확히 했다.

탄나크에 대한 주석과 마찬가지로, 라시는 종종 그의 시대의 직업, 공예, 스포츠에 대한 비유를 사용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설명했다. 그는 또한 어려운 히브리어 또는 아람어 단어를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고대 프랑스어의 어휘와 발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라시의 탈무드 주석은 12세기 중반까지 예멘의 유대인들에게까지 퍼져나갔다.[42] 15세기에 처음 인쇄된 이후 모든 탈무드 버전에 포함되었으며, 항상 펼쳐진 책의 중간 부분, 즉 책의 제본에 가장 가까운 페이지 쪽에 위치한다.

라시에게 귀속된 다른 인쇄된 주석 중 일부는 다른 사람, 주로 그의 제자들이 작성했다. 아키바 에거는 나지르에 대한 주석은 라시가 쓴 것이 아니라고 했으며, 츠비 히르쉬 차예스는 타아니트에 대한 주석은 라시가 쓴 것이 아니라고 말했다.[43] 마코트는 그의 사위인 유다 벤 나단이, 바바 바트라는 그의 손자 라슈밤이 완성했다. 호라요트에 대한 주석은 게르솜 벤 유다 학파에서 나왔다는 증거가 있다.[44][45] 네다림에 대한 주석은 그의 딸들이 썼다는 전설도 있다.

라시의 탈무드 주석은 현대 랍비 학문과 해석의 핵심 기반으로, 그의 주석이 없었다면 탈무드는 닫힌 책으로 남아 있었을 것이다.[62]

라시 주석의 존재는 이후 탈무드 주석의 본질을 변화시켰다. 약 300년 동안 학자들은 그의 주석을 면밀히 조사하고 비판했으며 재해석을 요구했다. 그러나 라시가 탈무드의 난해한 표현을 일관되고 매끄럽게 흐르는 텍스트로 바꾸는 방법을 해결했음을 모두 깨달았고, 이후 학자들의 과제는 그의 해석을 수정하고 추가하는 것이었다.[63]

일반적으로 라시의 주석은 탈무드의 ''페샤트''(문자적 의미)를 제공하는 반면, 토사포트와 같은 후속 주석은 논쟁, 유사점 및 구별과 관련하여 구절 자체를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64] 표준 인쇄된 탈무드에서 토사포트의 주석은 라시의 주석 반대편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라시가 주석을 추가하지 않은 부분에 댓글과 비판을 추가했다.

라시는 탈무드의 정확한 텍스트를 확립하는 데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는 토세프타, 예루살렘 탈무드, 미드라쉬, 타르굼가온의 저작물에서 다양한 원고와 판본을 비교하고 어떤 판본을 선호해야 하는지 결정할 수 있었다.

5. 3. 응답서

라시의 응답서와 할라카적 결정 약 300건이 현존한다. 일부는 라시가 저술을 위해 의도한 것과 모순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 응답서는 그의 제자, 손자, 그리고 미래의 학자들에 의해 필사되고 보존되어 출판되었다.[46]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제자가 편집한 ''라시의 시두르''에도 라시의 기도에 대한 응답서가 포함되어 있다. 다른 많은 판결과 응답서는 마흐조르 비트리에 기록되어 있다. 다른 편집본으로는 라시의 제자였던 트루아의 셰마야가 편집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세페르 하파르데스''와 나탄 하마치리가 편집한 ''세페르 하오라'' 등이 있다.

라시의 저술은 탈무드에 대한 설명과 상세한 분석을 담고 있어 탈무드 이후의 범주에 속하지만, 그는 성경 및 탈무드 구절의 의미뿐만 아니라 전례 텍스트, 문법 규칙, 그리고 새롭게 등장하는 종교와 관련된 사건들에 대해서도 글을 썼다.[47] 어떤 이들은 그의 응답서를 통해 사람들이 "그의 성격에 대한 명확한 그림"을 얻을 수 있으며, 라시를 친절하고, 온화하며, 겸손하고, 자유로운 사람으로 보여준다고 말한다.[48] 또한 그의 지성과 상식을 잘 보여준다.

라시의 응답서는 유대교 생활과 율법에 관한 몇 가지 다양한 사건과 질문에 답변했을 뿐만 아니라, 제1차 십자군 전쟁 시기에 유대인들이 처했던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 대한 빛을 비추었다.[48] 그는 언어적 텍스트 중심, 기도, 음식, 안식일에 관한 율법, 비유대인이 생산한 포도주, 맹세와 파문, 판매, 파트너십, 대출과 이자, 보석, 공동체 문제, 민법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라시의 응답서는 토라, 율법, 기타 편집물에 관한 동시대 현자들과 제자들의 질문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46]

예를 들어, 기독교인과의 관계에 관한 그의 저술에서는 순교자와 개종자를 대하는 방법, 그리고 "유대인을 겨냥한 모욕과 [수치스러운] 표현"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46] 십자군 전쟁의 여파로 인해 라시는 강제로 개종해야 했던 사람들과 남편을 잃은 여성의 권리에 대해 글을 썼다.[47]

라시는 그의 응답서 대부분을 "텍스트의 언어에 대한 세심한 분석"에 집중했다.[49]

5. 4. 시

라시는 여러 편의 selichot(참회 기도문)을 썼으며, 그 중 일부는 오늘날에도 유대교 전례의 일부로 암송되고 있다.

제목내용
'Nora vaElyonim''아슈케나짐 유대인이 로쉬 하샤나 전야에 암송한다. 역사적으로 욤 키푸르 전야에도 암송되었다.
'Ophan Echad baAretz''
Az Terem Nimtechu아슈케나짐이 게달리야 단식에 암송한다.
Akh Leilohim Nafshi Domi
Apekha Hashev
Torah haTemimah라인란트 학살에 관한 것으로 보인다.
'Tefillah lKademkha''프라하 구 시나고그의 1613년 기도서에 포함되었다.



다른 시들은 때때로 라시에게 잘못 귀속되기도 한다. 위 목록이 완전하지 않을 수 있지만, 라시가 다른 시와 관련 있다는 증거는 없다.

6. 평가와 유산

라시는 고대 프랑스어로 글을 쓴 최초의 작가 중 한 명이었다.[55] 당시 대부분의 프랑스 작가들은 라틴어로 글을 썼다. 그의 작품은 종교적 가치 외에도 11세기 북부 프랑스의 언어와 문화를 엿볼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56] 특히 모세 오경에 대한 그의 타나크 주석은 300개 이상의 "슈퍼 주석"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 주석들은 랍비 문학의 가장 위대한 거장들이 라시의 언어 선택과 인용을 분석한 것이다.[57]

6. 1. 비유대교계에 미친 영향

라시의 성경 주석, 특히 모세 오경에 대한 주석은 여러 공동체에 퍼져나갔다. 12세기~17세기에 라시의 영향력은 프랑스독일 지방에서 스페인과 동쪽으로 확산되었다. 그는 기독교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라시의 원숭이"로 알려진 프랑스 수도사 니콜라스 드 리라는 그의 저서 ''Postillae Perpetuate''를 쓸 때 라시의 주석에 의존했는데, 이 책은 루터의 성경 번역에서 사용된 주요 자료 중 하나였다.[68] 그는 라시의 주석이 "랍비 전통의 공식적인 저장소"[68]이며 성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고 믿었다. 라시의 주석은 문법과 주석학을 연구한 당시 인문주의자들에게 중요해졌다. 기독교 히브리 학자들은 라시의 주석을 "회당이 인정한" 중요한 해석으로 연구했다.[68]

라시는 유대교 외부의 공동체에도 영향을 미쳤지만, 과학과의 관련성이 부족하여 일반적인 영역으로 진입하지 못했고, 유대인 공동체에서 더 인기가 있었다.[67][68]

무슬림 변증가인 하리스 자파르는 그의 저서 ''이슬람의 신비 풀기''에서 라시를 인용하여 아가가 남자가 여자에 대해 묘사하는 에로틱한 시가 아니라,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에 대해 묘사하는 시라는 견해를 제시한다. 이는 자파르가 요약한 대로, 무슬림이 믿는 바와 같이, 아가 5장 16절에서 무함마드를 이름으로 언급하고 있다는 추론과 관련하여 중요한데, 만약 언급이 에로틱한 맥락에서 이루어진다면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69]

7. 라시 문자

라시 문자 형식을 띤 히브리 문자의 22글자


'''라시 문자'''는 라시탈무드타나크 주석을 출판하는 데 사용된 반필기체 형태의 글꼴이다. 라시 본인이 실제로 이런 글꼴의 필기를 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 글꼴은 15세기 세파르디 유대인들의 반필기체 형식의 글자 모양을 그 바탕으로 두고 있다.[1]

[http://jewishencyclopedia.com/view.jsp?artid=966&letter=S&search=soncino 손치노 일가(Soncino family)] 등 초기 히브리 인쇄공들과 기독교인 성서학자인 다니엘 봄베르그는 미크라옷 그돌롯탈무드에 대한 라시의 주석들을 조판하는데 이 글꼴을 채용하였는데, 이는 네모꼴의 글자체로 인쇄되던 성경 본문과 랍비 주석을 구별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1]

]

탈무드와 타나크에 라시의 주석이 인쇄된 반 흘림체 서체는 종종 "라시체"라고 불린다. 이름과는 달리, 라시 본인은 이러한 서체를 사용하지 않았다. 이 서체는 라시 사후 수백 년이 지난 15세기의 세파르딕 반 흘림체를 기반으로 한다. 손치노 가문과 다니엘 봄베르크와 같은 초기 히브리 타이포그래퍼들은 미크라오트 게돌로트와 탈무드와 같이 라시의 주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주석 텍스트의 판본에서 라시의 주석을 본문과 구별하기 위해 "라시체"라고 불리게 된 서체를 사용했으며, 본문에는 정방형 서체를 사용했다.[1]

참조

[1] 논문 Automatically Identifying Citations in Hebrew-Aramaic Documents
[2] 서적 History of the Present Jews Throughout the World https://books.google[...]
[3] 서적 Curiosities of Judaism https://archive.org/[...] By and for the author
[4] 서적 The Literary Churchman https://books.google[...]
[5] 서적 Histoire critique du Vieux Testament https://archive.org/[...] chez Reinier Leers 1685
[6] 서적 Bibliotheca Hebræa
[7] 서적 Histoire littéraire de la France: Treizième siècle https://books.google[...] Firmin Didot 1824
[8] 서적 Israelitische Annalen https://books.google[...] J.D. Sauerländer 1839
[9] 서적 Rashi's Commentary on Psalms https://books.google[...] Jewish Publication Society 2007-10-10
[10] 서적 A Cyclopædia of Biblical Literature https://archive.org/[...] Black
[11] 웹사이트 Index to Articles on Rabbinic Genealogy in ''Avotaynu: The International Review of Jewish Genealogy'' http://www.jewishgen[...] 2008-06-11
[12] 문서 Shabbat 85b
[13] 문서 See Rashi's comments in ''Shabbat'' 85b.
[14] 웹사이트 Rabbi Yehiel Ben Shlomo Heilprin - (Circa 5420-5506; 1660-1746) https://www.chabad.o[...] 2020-06-28
[15] 서적 The Responsa of Solomon Luria
[16] 논문 Can We Prove Descent from King David? http://www.jewishgen[...] 2008-06-11
[17] 웹사이트 Shiur 08 - Rashi, Tosfos, And The Development Of Ashkenazi Jewry - Rabbi Menachem Levine - TD19191 http://torahdownload[...] 2018-12-17
[18] 서적 Rashi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004
[19] 서적 Rashi: A Portrait Schocken Books Inc
[20] 간행물 4. Menahem ben Helbo https://www.vr-elibr[...] Vandenhoeck & Ruprecht 2000-11-12
[21] 논문 How Did Rashi Make a Living? https://seforimblog.[...] the Seforim blog 2007-08-13
[22] 문서 Maurice Liber, Rashi, trans. Adele Szold (Philadelphia: Jewish Publication Society, 1906), p 56; Irving Agus, The Heroic Age of Franco-German Jewry (New York: Yeshiva University Press, 1969), 173; Israel S. Elfenbein, "Rashi in His Responsa", in Rashi, His Teachings and Personality, ed. [[Simon Federbusch]] (New York: Cultural Division of the World Jewish Congress, 1958), p 67; Salo W. Baron, "Rashi and the Community of Troyes", in Rashi Anniversary Volume, ed. H. L. Ginsberg (New York: American Academy for Jewish Research, 1941), p 60. "Rashi was a vintner who grew grapes and sold wine."
[23] 문서 Oxford Bodleian Ms. Oppenheim 276, p. 35a, cited by [[Avraham Grossman]], The Early Sages of France, 132; 135, n. 45.
[24] 서적 Rashi: Chayav u'Ferushav Hekdesh Ruach Yaakov 1997
[25] 서적 Rashi 2012
[26] 뉴스 The Discovery of the Resting Places of Rashi and the Baalei Hatosfos http://www.chareidi.[...] Dei'ah Vedibur 2005-07-25
[27] 서적 Rashi - the Man and His World Sepher-Hermon
[28] 문서 [[Avraham Grossman]]. Pious and Rebellious: Jewish Women in Medieval Europe. Brandeis University Press, 2004.)
[29] 문서 Makkot 19b
[30] 문서 Jacobi Papers, Vol 4, p. 8, B.5
[31] 웹사이트 רבן של ישראל (Hebrew) http://www.chabad.or[...] 2007-07-13
[32] 웹사이트 Rashi's Method of Biblical Commentary - Rashi's Method of Biblical Commentary, and the Rebbe's approach to Rashi's works - Jewish History http://www.chabad.or[...] chabad.org 2015-08-01
[33] 웹사이트 The Books of the People of the Book - Hebraic Collections: An Illustrated Guide (Library of Congress - African & Middle Eastern Division) https://www.loc.gov/[...] 2019-11-03
[34] 서적 Rashi's Commentary on Psalms Brill - The Jewish Publication Society, Philadelphia 2007
[35] 문서 Eran Viezel, The Commentary on Chronicles Attributed to Rashi, Jerusalem: The Hebrew University Magnes Press, 2010
[36] 논문 The End of Rashi's Commentary on Job. The Manuscripts and the Printed Editions (with three appendices) https://www.jstor.or[...] 2003
[37] 서적 Introduction http://www.jstor.org[...]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17
[38] 간행물 "“The Anxiety of Influence”: Rashbam's Approach to Rashi's Commentary on the Torah." 2016
[39] Alhatorah Genesis
[40] Bibleverse Jeremiah
[41] Alhatorah Exodus
[42] 뉴스 Interview with Professor Haym Soloveitchik by Rabbi Yair Hoffman http://www.5tjt.com/[...] 2014-01-03
[43] 웹사이트 The role of manuscripts in halakhic decision-making: Hazon Ish, his precursors and contemporaries http://traditionarch[...]
[44] 문서 Nitzozei Or
[45] 간행물 The commentary on Horayot Attributed to Rashi 1942
[46] 서적 Rashi 2012
[47] 서적 Rashi ... Translated from the French by A. Szold Jewish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1906
[48] 서적 “The Life of Rashi .” Peter Halban Publishers Ltd 1988
[49] 서적 “Rashi.” Thomson Gale 2007
[50] 웹사이트 Selichot Nusach Ashkenaz Lita, Erev Rosh Hashana 3:2 https://www.sefaria.[...] 2024-09-10
[51] 웹사이트 Selichot Nusach Polin, Erev Rosh Hashana 3:2 https://www.sefaria.[...] 2024-09-10
[52] 웹사이트 Seder Troyes 9:3 https://www.sefaria.[...] 2024-09-10
[53] 웹사이트 Siddur Ashkenaz, Festivals, Selichot, Fast of Gedalia 163 https://www.sefaria.[...] 2024-09-10
[54] 웹사이트 HebrewBooks.org Sefer Detail: פיוטי רשי (רש"י) -- שלמה בן יצחק (רש"י), 1040-1105 https://hebrewbooks.[...] 2024-09-10
[55] 웹인용 here. https://mvstconferen[...] 2022-11-02
[56] 문서 Héritages de Rachi Éditions de l’éclat
[57] 웹사이트 Rashi's Method of Biblical Commentary http://www.chabad.or[...] chabad.org 2008-09-13
[58] 웹사이트 Shnayim Mikra V'Echad Targum https://halachipedia[...]
[59] 문서
[60] 웹사이트 Theme 1C Rashi and Maimonides https://resource.dow[...] wjec.co.uk
[61] 웹사이트 Yiddeshe Licht Vol 31 Number 15 Page 14 (Hebrew Text) http://hebrewbooks.o[...] 2013-09-08
[62] 논문 RASHI Rabbi Solomon of France 1940-10-02
[63] 서적 The Printed Page of the Talmud: The Commentaries and Their Authors https://web.archive.[...] Yeshiva University Museum 2006
[64] 웹사이트 Kuntres Eitz HaChayim ch 28 https://www.chabad.o[...] 2023-04-18
[65] 서적 The Jewish World in the Modern Age KTAV Pub. House 2004
[66] 웹사이트 TOSAFOT - JewishEncyclopedia.com https://www.jewishen[...] 2021-09-26
[67] EJ Rashi
[68] 웹사이트 Rashi (Solomon Bar Issac) http://www.jewishenc[...] Jewish Encyclopedia.com. 2013-02-27
[69] 서적 Demystifying Islam https://archive.org/[...] Dev Publishers & Distributors 2014
[70] 웹사이트 Rashi (Solomon Bar Issac) http://www.jewishenc[...] JewishEncyclopedia.com
[71] 웹사이트 The Discovery of the Resting Places of Rashi and the Baalei Hatosfos http://www.chareidi.[...] Dei'ah Vedibur
[72] 웹사이트 Rashi's Method of Biblical Commentary https://www.chabad.o[...] Chabad Lubavitch
[73] 웹인용 Rashi's Method of Biblical Commentary http://www.chabad.or[...] chabad.org
[74] 웹사이트 Rashi (Solomon Bar Issac) http://www.jewishenc[...]
[75] 웹사이트 The Discovery of the Resting Places of Rashi and the Baalei Hatosfos http://www.chareidi.[...]
[76] 웹사이트 Rashi's Method of Biblical Commentary http://www.chabad.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